광고로 유입된 유저의 여정을 여러 이벤트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분석할 수 있는 퍼널 리포트(Funnel report) - Beta가 공개되었습니다. 우리 앱 서비스로 유입된 유저의 서비스 진입부터 전환까지의 고객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, 어디에서 유저 이탈이 주로 발생하는지 혹은 어디에서 다음 단계 전환까지 오래 시간이 소요되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 퍼널 리포트를 통해 유저 여정을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마케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인해보세요.
모든 유저는 구매, 인앱 결제 등 각 비즈니스가 정의하는 ‘전환’에 이르기 전까지 반드시 몇 가지 단계(Funnel, 깔대기)를 거쳐가게 됩니다. 이를 마케팅에서는 퍼널(Funnel) 이론으로 설명합니다. 이 퍼널은 유저가 완료하는 일련의 이벤트(앱 설치, 회원가입, 로그인, 상품 검색, 장바구니 담기 등)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 퍼널을 분석하게 되면 각 비즈니스가 의도하는 대로 유저가 행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에어브릿지는 앱 어트리뷰션 툴 / MMP로서 매체가 제공한 어트리뷰션 정보 그리고 에어브릿지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광고부터 앱 내까지 이어지는 유저 여정을 전반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퍼널 리포트를 제공합니다. 그리고 에어브릿지가 자체 개발한 데이터베이스인 Luft 기반의 코호트 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싶은 특정 유저군을 설정하고 해당 유저군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.
특히, 에어브릿지의 퍼널 리포트는 SAN(Self Attributing Network)에 대해서도 유입 채널부터 전환에 이르기까지 고객 여정을 분석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SAN은 굉장히 많은 유저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, 자체적으로 엄격한 데이터 관리 규정을 가지고 있습니다. 그래서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 유저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MMP에게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파트너십이 맺어지지 않은 써드파티을 연동할 때는 해당 데이터를 보낼 수 없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프로덕트 애널리틱스 툴과 MMP를 연동했다고 하더라도 SAN 어트리뷰션 데이터를 포함한 고객 여정은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했습니다. 그러나 MMP인 에어브릿지의 퍼널 리포트는 이것을 가능케 합니다.
에어브릿지 퍼널 리포트는 유저의 행동, 즉 이벤트를 ‘스텝(step)’으로 정의합니다. 그리고 앱 설치 및 앱 오픈 등과 같은 ‘유저 유입’부터 구매 등 목표로 하는 ‘전환’까지의 유저 행동을 줄세워서 서비스 진입부터 전환까지의 고객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유저 행동의 트리거가 되는 유입 이벤트부터 최종 전환 이벤트 사이에 발생하는 유저의 행동을 유저 여정 전반에 걸쳐 분석할 수 있습니다.
에어브릿지 퍼널 리포트의 가장 큰 장점은, 유저 행동의 트리거가 되는 유입 이벤트부터 최종 전환 이벤트 사이에 발생하는 유저들의 행동을 차트와 테이블로 세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
그래서 최근 앱을 설치한 유저가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, 유입된 유저가 결제를 완료하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, 광고로 유입된 유저가 어떤 단계에서 이탈하는지, 최근 일주일의 유저 전환율 등 마케팅 전략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마케팅 캠페인 이후 고객 여정을 분석함으로써 다음 캠페인의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
코호트를 통해 퍼널 리포트의 분석 대상이 되는 유저를 설정합니다. 각 서비스에서 타겟하는 유저 정의를 적용하여 코호트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게임 서비스에서 ‘특정 레벨을 달성한 후 2주간 앱에 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’ 혹은 ‘지난 한 달간 앱을 설치한 유저’로 코호트를 설정하여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가정하면, 이 조건에 충족하는 유저를 코호트로 설정하고 이 유저들의 행동을 퍼널 리포트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.
이때 코호트 조건을 설정하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유저를 대상으로 리포트 조회 결과를 집계하며, 미설정 시에는 전체 유저를 대상으로 분석합니다.
스텝은 유저 이벤트 중 퍼널 리포트 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하는 이벤트입니다. 코호트로 설정된 유저 여정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며, 2개 이상의 스텝 선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스텝으로는 모든 에어브릿지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, Install, Open, 회원가입, 로그인, 상품리스트 조회, 광고 노출, 광고 클릭 등이 있습니다.
또한, 선택한 스텝의 순서도 중요한 설정입니다. 에어브릿지 퍼널 리포트는 스텝에 해당하는 유저 중 다음 스텝으로 얼마나 많이 전환됐는지 집계하기 때문에 스텝 순서를 바꾸면 리포트 결과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.
퍼널 리포트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퍼널 진입 기간과 컨버전 윈도우 두 가지의 기간을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.
‘퍼널 진입 기간’은 코호트로 설정한 유저가 첫 스텝에 진입하는 기간입니다. 퍼널 리포트는 설정한 코호트에서 퍼널 진입 기간 동안 첫 스텝을 발생시킨 유저만 집계합니다.
‘컨버전 윈도우’는 첫 스텝 이후 발생한 후속 스텝을 집계하는 기간입니다. 퍼널 리포트는 첫 스텝 이후 컨버전 윈도우 동안 발생한 후속 스텝에서 유저가 얼마나 전환됐는지 집계하며, 컨버전 윈도우 이후 발생한 후속 스텝은 집계되지 않습니다.
퍼널 리포트의 그룹바이는 유저를 나누는 기준입니다. 퍼널 분석을 통해 마케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부분을 찾기 위해서는 유저 그룹을 나누어 비교하거나 채널, 캠페인 등의 조건으로 나누어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이를 위해 그룹바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퍼널 리포트의 그룹바이는 첫 스텝을 기준으로 유저를 나누고 집계합니다. 예를 들어 Channel을 그룹바이로 적용하면 첫 스텝이 기여된 채널에 따라 유저가 각각 집계됩니다. 어떤 유저가 첫 스텝에서 채널 A로 집계되었다면, 해당 유저의 두번째 스텝이 어느 채널에 기여되었는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.
더 자세한 에어브릿지 퍼널 리포트 이용 방법은 아래 링크와 연결된 유저 가이드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에어브릿지 퍼널 리포트를 통해 유입 이후 유저의 행동을 단계별로 분석하고, 다음 캠페인의 성과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.